목차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ⅶ
제1장 연구개요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대상 현황 1
1.2.1 연구대상위치 1
1.2.2 균열발생현황 2
1.3 연구수행 범위 9
1.3.1 현장조사 및 현황분석 9
1.3.2 이주단지 자료분석 9
1.3.3 용미교 자료분석 9
1.3.4 지반조사 9
1.3.5 균열발생원인 분석 11
1.3.6 대책검토 12
1.4 연구수행 기간 12
1.5 제한조건 12
제2장 현황조사 13
2.1 개요 13
2.2 지형현황 13
2.3 균열발생 현황조사 17
2.4 용미교 손상현황 23
2.4.1 현황 23
2.4.2 손상현황 23
2.5 용미교 설계현황 25
2.5.1 과업추친 및 교량현황 25
2.5.2 지반조사 26
2.5.3 기초설계 현황 27
2.6 이주단지 설계현황 29
2.6.1 과업추친 및 단지현황 29
2.6.2 지반조사 30
2.6.3 비탈면 설계현황 31
2.7 기타 현황 33
제3장 지반조사 34
3.1 지형 및 지질 34
3.1.1 산계 및 수계 34
3.1.2 지형 분석 34
3.1.3 지질 35
3.2 불연속면 노두조사 36
3.3 지반조사 결과 37
3.3.1 개요 37
3.3.2 시추조사 38
3.3.3 지하수위 43
3.3.4 현장밀도시험 43
3.3.5 현장투수시험결과 43
3.3.6 공내전단시험결과 44
3.3.7 공내재하시험결과 45
3.3.8 실내시험결과 46
제4장 균열발생 원인분석 48
4.1 개요 48
4.2 설계 및 시공자료 분석 48
4.2.1 설계 및 시공현황 분석 48
4.2.2 성토 재료원 50
4.2.3 성토 시공 53
4.2.4 설계시 사면안정검토 55
4.3 공용시설부지 사면안정 검토 56
4.3.1 지반정수 평가추정값 56
4.3.2 비탈면 안정해석일반 66
4.3.3 설계 및 시공조건의 이주단지 사면안정검토 70
4.4 공용시설 균열발생 원인분석 75
4.4.1 지반조건 영향 75
4.4.2 강우영향 76
4.4.3 강우에 의한 지하수영향 분석 79
4.4.4 지반포화에 따른 강도정수 영향 93
4.5 역해석을 통한 활동면 분석 95
4.5.1 역해석을 통한 지반정수 산정 95
4.5.2 역해석을 통한 활동파괴면 예측 95
4.6 용미교 변형 99
4.7 분석 결과 100
제5장 대책공법 01
5.1 개요 101
5.2 대책공법 일반 101
5.3 응급대책공법 검토 103
5.4 영구대책공법 검토 104
5.4.1 우수침투 방지시설 설치 104
5.4.2 배수시설 설치 105
5.4.3 지반강도증진 방안 106
5.4.4 공법별 상세검토 107
5.4.5 검토 결과 108
5.5 이주단지 대책공법 검토 109
5.6 용미교 대책공법 검토 110
제6장 요약 및 결론 111
부록 1. 금회 지반조사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