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범위 2
1.3 연구기간 2
1.4 세부 추진 내용 2
1.5 연구 추친 방법 3
제2장 옹벽 점검관리 기준 4
2.1 국내·외 점검 관련 기준 조사 4
2.1.1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 4
2.1.2 국외 점검 및 진단 기준 14
2.2 대상 시설물의 점검 결과 분석 및 취약요소 고찰 31
2.2.1 점검결과 수집 및 분석 31
2.2.2 평가항목별 분석 39
2.2.3 점검관리시 주의가 필요한 취약요소 46
2.3 점검 및 관리기준 수립 53
2.3.1 점검 항목 선정 및 점수 산정을 위한 방법론 조사 53
2.3.2 점검 항목 선정 및 점수 산정 61
2.3.3 점검 간리 기준 66
2.3.4 안전성 평가 기준 85
2.3.5 기타 유지관리 사항 87
2.4 결론 88
제3장 쌓기비탈면 점검관리 기준 90
3.1 국내·외 관련 법령, 기준, 지침 및 관리 실태 조사 90
3.1.2 한국도로공사 90
3.1.2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 92
3.1.3 현장실무자를 위한 성토비탈면점검요령 101
3.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
3.1.5 국립재난안전연구원 104
3.1.6 국외 점검 및 진단 기준 107
3.2 대상 시설물의 현황 분석 및 취약요소 고찰 116
3.2.1 현황자료 116
3.2.2 붕괴형태 117
3.2.3 쌓기비탈면에서 주의가 요구되는 취약구간 121
3.2.4 경사불안정지반 쌓기비탈면 조사 127
3.3 점검 및 관리기준 수립 128
3.3.1 점검 항목 선전 및 점수 산정을 위한 방법론 조사 128
3.3.2 점검 항목 선전 및 점수 산정 136
3.3.3 점검 관리 기준 145
3.3.4 안전성 평가 기준 154
3.3.5 기타 유지관리 사항 155
3.4 결론 156
제4장 비탈면 관리 과학화 방안 제시 158
4.1 드론의 운용 현황조사 158
4.1.1 드론 탑재 센서기술 현황조사 158
4.1.2 드론의 활용 181
4.1.3 드론의 향후 기술동향 190
4.2 국내·외 비탈면 관리시스템 현황조사 192
4.2.1 국내 비탈면 관리시스템 현황 192
4.2.2 국외 비탈면 관리시스템 현황 199
4.2.3 한국도로공사 비탈면관리시스템 운용 현황 203
4.3 드론 운용, 비탈면 상태등급 평가 및 비탈면관리시스템 분석 204
4.3.1 드론 운용 및 활요상의 문제점 204
4.3.2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평가 프로그램 및 개선방향 214
4.3.3 드론 및 영상촬영장치의 비탈면 점건기술 적용방안 제시 233
4.4 비탈면 상태등급 평가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및 비탈며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제시 246
4.4.1 비탈면 상태등급 평가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방안 제시 246
4.4.2 비탈면관리시스탬 개선방안 제시 263
4.5 결론 292
제5장 바이오쏘일 표층보강 공법 294
5.1 과업에 대한 이해 294
5.1.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94
5.1.2 과업의 범위 295
5.1.3 과업의 추진 세부내용 295
5.2 과업수행 계획 297
5.2.1 과업별 세부일정 계획 297
5.3 과업수행 방법 298
5.3.1 화강풍화토 구간의 토사 유실 메커니즘과 경향 조사·분석 299
5.3.2 토사 유실 최소화를 위한 표층처리 바이오신재료 제시 302
5.3.3 바이오폴리머-흙 혼합물의 지반공학적 거동 분석 304
5.3.4 바잉오신소재와 기존 비탈면 표층보강 공법과의 성능비교 311
5.3.5 바이오신소재를 이용한 비랕면 표층보강 시험시공 312
5.3.6 바이오신소재-흙 혼합물에 대한 균열 억제 시험 320
5.3.7 바이오신소재-흙 혼합물에 대한 식생 시험 321
5.3.8 수치해석을 통한 바이오신소재 비탈면 표층보강 공법 안정성 검토 330
5.3.9 바이오신소재 비탈면 표층보강 시공장비 시제품 제작 336
5.3.10 기타 과업을 위한 특별제안 내용 등 337
5.4 결론 338
참고문헌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