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2
1.1 조사목적 2
1.2 비탈면 이력 2
제2장 조사 개요
2.1 조사 목적 4
2.2 조사 구간 4
2.3 조사 항목 5
2.4 조사 기간 6
2.5 조사 장비 6
2.6 조사 수행과장 7
제3장 조사방법 및 내용 9
3.1 조사목적 및 활용 9
3.2 조사위치 선정 9
3.2.1 조사 위치 9
3.3 무리탐사 10
3.3.1 전기비저항탐사10
3.3.2 탄성파탐사 11
3.4 현장조사 12
3.4.1 상세지표지질조사 12
3.5 실내 암석시험 12
3.5.1 기본 물성시험 12
3.5.2 절리면전담시험 13
3.6 지반분류 및 기재방법 13
3.6.1 암반분류 및 기재방법 13
제4장 지형 및 지질
4.1 개요 22
4.1.1 조사 기본방향 22
4.1.2 조사 수행과정 22
4.2 지형 및 지질 23
4.2.1 지형 23
4.2.2 지질 23
제5장 조사 및 해석 결과
5.1 지표지질조사 결과 26
5.1.1 비탈면 조사현황 26
5.1.2 영역별 조사 및 평사투영 해석결과 26
5.1.3 3차원 입체사진 조사 및 평사투영 해석결과 60
5.1.4 지표지질조사 분석종합 63
5.1.5 평사투영해석 결과 64
5.2 물리탐사 결과 65
5.2.1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65
5.2.2 탄성파탐사 결과 67
5.3 실내시험 결과 76
5.3.1 암석시험 결과 76
5.4 비탈면 안저해석(한계평형해석) 결과 79
5.4.1 구간별 비탈면 안정검토 79
5.4.2 구간별 비탈면 안정검토 결과 82
제6장 결론
6.1 비탈면 조사 현황도 84
6.2 조사결과 85
6.3 비탈면 보강 87
6.4 이격거리 검토 90
부록
1. 실내 암석시험 결과
2. 현장지표지질조사 결과
3. 비탈면 안정화 결과
4. 이격거리 검토
5. 사진첩
6. 한계평형 해석
7. 과업 수행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