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14-05-30 | 정가 15,000원
432쪽 | 223*152mm (A5신) | 605g | ISBN(13) : 9771227362707
특집 '역사교육을 묻는다'는 작년부터 이어진 한국사 교과서 논쟁을 돌이켜보며, 보다 근본적으로 또 지속적으로 이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었다. 기획 '17세기 위기론과 중국, 조선의 사회변동'에서는 소빙기 혹은 자연재해의 영향을 지나치게 부풀리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당대 사회 변화에 끼친 영향을 정확하게 살펴본다.
책머리에 우리 사회의 ‘복원력’ 강화를 염원하며 / 오제연
지금 여기
‘세월호 기억 저장소’를 만들자 / 김익한
드레스덴, 한반도 통일 역사의 에피소드 / 이동기
특집 역사교육을 묻는다―역사교육과 역사 교과서에 대한 4개의 질문, 10인의 응답
정부 간섭은 역사교육의 퇴행을 가져올 뿐 / 이만열
비판과 성찰, 문제해결과 창의력의 토대로서 역사교육 / 강선주
무엇을 고민할 것인가 / 최우석
‘비판적 국민’ 형성을 위한 역사교육으로 / 장미현
정체성 교육을 넘어 시민 형성으로 / 김육훈
역사학, 역사교육, 민주주의 / 하종문
문자 그대로의 역사교육과 민주시민 양성 / 나인호
역사교육을 향한 철학적 제안/ 박구용
배우는 자의 권리를 생각한다 / 정병욱
역사학계의 관심과 자율적 개입의 확대 / 권내현
기획
17세기 위기론과 중국, 조선의 사회변동
전쟁과 번영―17세기 조선을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 / 김성우
‘17세기 위기론’과 중국의 사회 변화―명조 멸망에 대한 지구사적 검토 / 조영헌
베트남 파병 50년, 또 다른 시선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 재평가 / 곽태양
오키나와에서 본 베트남전쟁 / 김재용
아래로부터 역사읽기
총을 든 시민들, 시민군 / 노영기 253
기획연재 21세기 역사학을 찾아서 ⑥ 소비사
서구 소비사의 현황과 전망 / 설혜심 282
역비논단 카이로회담의 한국 문제 논의와 카이로선언 한국조항의 작성 과정 / 정병준
기획서평
역사를 옹호하며-역사적 유물론과 실천적 실재론 / 장문석
서평
평화의 정치는 가능한가? / 이재승
(김동춘, 『전쟁정치-한국정치의 메커니즘과 국가폭력』, 길, 2013)
누가 북폭의 상흔에 응답할 것인가? / 김학재
(김태우, 『폭격-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저항의 함수 / 백승종
(정병욱, 『식민지 불온열전-미친 생각이 뱃속에서 나온다』, 역사비평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