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국도대체 우회도로(세풍-중군) 건설공사 깎기 4구간 산사태 발생원인 분석 및 대책수립 연구(최종 보고서)
목차
제1장 과업개요 1
1.1 과업 목적 1
1.2 과업 내용 1
1.3 과업기간 및 수행일정 2
1.3.1 과업기간 2
1.1.1 과업 수행일정 2
제2장 산사태 발생 현황 3
2.1 산사태 발생 위치 3
2.2 산사태 발생 비탈면 현황 4
2.2.1 비탈면 주변 현황 및 평면 4
2.2.2 비탈면 설계/시공 현황 5
2.3 산사태 발생 현황 10
제3장 지반 조사 13
3.1 조사계획 수립방향 13
3.1.1 조사계획 수립 방향 13
3.1.2 조사 위치 및 수량 15
3.2 조사 및 시험 방법 17
3.2.1 흙과 암석의 분류 및 기재방법 17
3.2.2 암반의 분류 및 기준 23
3.2.3 지표지질조사 34
3.2.4 현장조사 및 시험 35
3.2.5 실내시험 39
3.3 조사결과 41
3.3.1 지표지질조사 41
3.3.2 현장조사 및 시험 67
3.3.3 실내시험 78
3.4 설계정수 산정 79
3.4.1 토사 및 풍화암 구간 79
3.4.2 암반 구간 82
3.4.3 적용설계정수 요약 85
3.5 지반조사 결과를 이용한 파괴할동면 예측 86
3.5.1 개요 86
3.5.2 예상 파괴활동면 86
제4장 강우량 및 유역특성 검토 89
4.1 개요 89
4.2 강우량 및 재현기간 검토 89
4.2.1 관측소 위치 89
4.2.2 강우량 조사 90
4.2.3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 93
4.2.4 재현기간 검토 93
4.3 유역검토 96
제5장 지진 발생 현황 및 특성 검토 98
5.1 개요 98
5.2 지진 발생 현황 조사 98
5.2.1 국내 지진발생 현황 99
5.2.2 지진 발생 위치 101
5.3 지진 특성 검토 102
5.3.1 관측소 위치 102
5.3.2 지진 가속도 분석 102
제6장 산사태 발생 원인 104
6.1 산사태의 유형 104
6.1.1 유동(flow type) 104
6.1.2 크리프(creep type) 105
6.1.3 활동(slide type) 105
6.2 비탈면의 구분과 붕괴 유형 106
6.3 조사 항목과 비탈면 붕괴 요인 110
6.3.1 비탈면 손상 상태 조사 110
6.3.2 비탈면 붕괴 요인 조사 110
6.4 사사태 발생 원인 검토 112
6.4.1 붕괴 형상 검토 112
6.4.2 일강우량 및 비탈면 변위 계측 비교 114
6.4.3 한계평형해석 검토 115
6.4.4 산사태와 지진 연관성 검토 117
6.4.5 산사태 발생 원인 119
제7장 대책 수립방향 검토 120
7.1 비탈면 보강공법 120
7.2 대책공법 검토 121
7.2.1 대책공법 적용시의 유의사항 121
7.2.2 보강대책 검토(A-A 단면)124
7.2.3 인장균열 처리 방안 128
7.3 계측 130
7.3.1 계측의 목적 130
7.3.2 게측항목 검토 130
7.3.3 게측항목 선정 131
7.3.4 게측빈도 134
제8장 결론 136
8.1 산사태 발생 현황 136
8.2 지반조사 136
8.3 강우량 및 유역특성 137
8.4 지진 138
8.5 산사태 발생 원인 138
8.6 대책 방향 139
참고문헌 141
부록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