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1
1.1 과업의 목적 1
1.2 과업범위 및 내용 1
1.2.1 과업범위 2
1.2.2 과업의 세부내용 2
1.3 과업수행 일정 4
1.4 검토자료 5
1.5 연구진 6
1.6 자문위원 6
제2장 보강토 옹벽 손상 문헌조사 검토결과 7
2.1 지반조건 7
2.1.1 개요 7
2.1.2 지형 및 지질 8
2.1.3 시추조사 결과 9
2.1.4 실내시험 결과 9
2.1.5 현장시험 결과 9
2.2 계측결과 10
2.2.1 개요 11
2.2.2 계측개요 11
2.2.3 계측결과 요약 11
2.3 안전진단 보고서 결과 14
2.3.1 개요 14
2.3.2 보강토 옹벽 외관조사 결과 14
2.3.3 보강토 옹벽 상태평가 및 안정성 평가결과 17
2.3.4 안전진단 보고서 결과 요약 17
제3장 과업구간 현장조사 19
3.1 개요 19
3.2 현장조사 결과 21
3.2.1 보강토 옹벽 상·하부구간 조사결과 21
3.2.2 보강토 옹벽 전면블록 손상 및 배부름 발생 22
3.2.3 보강토 옹벽 지오그리드 현황 검토 25
3.2.4 보강토 옹벽 측벽부 27
3.3 현장조사 결과 요약 28
제4장 보강토 옹벽 상태 평가 수행 29
4.1 개요 29
4.2 상태평가 기준 29
4.3 상태평가 등급 산정절차 32
4.4 보강토 옹벽 상태평가 34
4.4.1 상태평가 구간 선정 34
4.4.2 상태평가 결과 34
제5장 보강토 옹벽 손상발생 원인 분석 37
5.1 개요 37
5.2 보강토 옹벽 이론적 배경 37
5.3 보강토 옹벽 붕괴 사례 42
5.3.1 전체 보강토 옹벽의 붕괴 45
5.3.2 전면 벽체 붕괴 50
5.3.3 보강토 옹벽의 침하 53
5.3.4 전면벽체의 변형 57
5.3.5 보강토 옹벽 우각부 균열발생 원인 61
5.4 보강토 옹벽 손상원인 평가 63
5.4.1 개요 63
5.4.2 보강재의 포설 불량 64
5.4.3 뒤채움재 다짐 불량 65
5.4.4 보강재 길이 66
5.4.5 기타 68
제6장 보강토 옹벽 안정성 검토 69
6.1 개요 69
6.2 수치해석 프로그램 69
6.3 수치해석 구간 및 모델링 70
6.4 수치해석 조건 72
6.5 강도 정수 73
6.6 수치해석 순서 74
6.7 수치해석 결과 분석 75
6.7.1 시공 직후 보강토 옹벽 거동양상 75
6.7.2 손상 발생 후 보강토 옹벽 거동양상 76
6.8 한계평형해석기법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코너구간 안정성 평가 78
6.8.1 개요 78
6.8.2 해석방법 78
6.8.3 안정성 평가 적용기준 79
6.8.4 해석결과 79
6.9 보강 방안 적용에 따른 안정성 평가 81
6.9.1 보강 방안 적용 81
6.9.2 수치해석 순서 82
6.9.3 수치해석 결과 83
제7장 보강토 옹벽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85
7.1 보수·보강 방안 85
7.1.1 옹벽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과 요인 86
7.1.2 손상현황 및 원인 87
7.1.3 보강토 옹벽 보수·보강 방안 87
7.2 유지관리 방안 93
7.2.1 개요 93
7.2.2 계측관리 97
제8장 결언 및 추천사항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