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공지사항         회원활동

청주 사직동 푸르지오 보강토 옹벽 안정성 검토 연구보고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76
E0566
목차

제1장 서론 1
1.1 과업의 목적 1
1.2 과업범위 및 내용 1
1.2.1 과업범위 2
1.2.2 과업의 세부내용 2

1.3 과업수행 일정 4
1.4 검토자료 5
1.5 연구진 6
1.6 자문위원 6

제2장 보강토 옹벽 손상 문헌조사 검토결과 7
2.1 지형 및 지질 7
2.1.1 지질 특성 7
2.1.2 지형 특성 8
2.1.3 하천 지형 8
2.1.4 과업구간 지반공학적 특성 8
2.2 보강토 옹벽 손상이력 10
2.3 보강토 옹벽 제원 11
2.4 보강토 옹벽 전면벽체 계측결과 12
2.4.1 개요 12
2.4.2 계측기 설치현황 12
2.4.3 계측결과 17
2.5 보강토 옹벽 손상 관련 검토의견서 21
2.5.1 개요 21
2.5.2 청주사직 푸르지오 보강토 옹벽 검토서(2011.06) 21
2.5.3 청주사직 푸르지오 재개발 아파트 블록식 보강토 옹벽 안저성 검토 의견서 22
2.5.4 청주사직 푸르지오 보강토 옹벽 현장방문 결과 보고서(2013.04) 22
2.5.5 청주사직 푸르지오 보강토 옹벽 현장방문 검토 보고서(2016.05) 22
2.5.6 청주사직 푸르지오 보강토 옹벽 현장방문 검토 보고서(2016.05) 23
2.5.7 보고서 검토 결과 요약 23

제3장 과업구간 현장조사 25
3.1 개요 25
3.2 현장조사 결과 26
3.2.1 보강토 옹벽 상·하부구간 조사결과 26
3.2.2 보강토 옹벽 전면블록 손상 및 배부름 발생 27
3.2.3 보강토 옹벽 백태 발생구간 31
3.2.4 보강토 옹벽 지오그리드 현황 검토 33
3.3 현장조사 결과 요약 34

제4장 보강토 옹벽 상태 평가 수행 35
4.1 개요 35
4.2 상태평가 기준 35
4.3 상태평가 등급 산정절차 38
4.4 보강토 옹벽 상태평가 40
4.4.1 상태평가 구간 선정 40
4.4.2 상태평가 결과 40

제5장 보강토 옹벽 손상발생 원인 분석 43
5.1 개요 43
5.2 보강토 옹벽 이론적 배경 43
5.3 보강토 옹벽 붕괴 사례 43
5.3.1 전체 보강토 옹벽의 붕괴 51
5.3.2 전면 벽체 붕괴 56
5.3.3 보강토 옹벽의 침하 59
5.3.4 전면벽체의 변형 63
5.3.5 보강토 옹벽 웅각부 균열발생 원인 67
5.4 보강토 옹벽 손상원인 평가 69
5.4.1 개요 69
5.4.2 전면벽체 뒤채움재 불량 70
5.4.3 배수시설 불량 72

제6장 보강토 옹벽 안정성 검토 75
6.1 개요 75
6.2 수치해석 프로그램 75
6.3 수치해석 구간 및 모델링 76
6.4 수치해석 조건 77
6.5 강조 정수 78
6.6 수치해석 순서 79
6.7 수치해석 결과 분석 80
6.7.1 시공 직후 보강토 옹벽 거동양상 80
6.7.2 손상 발생 후 보강토 옹벽 거동양상 80
6.8 한계평형해석기법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코너구간 안정성 평가 82
6.8.1 개요 82
6.8.2 2차원 수치해석 82
6.8.3 한계평형해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코너구간 안정성 평가 87
6.8.4 안정성 평가 적용기준 88
6.8.5 해석결과 88

제7장 보강토 옹벽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89
7.1 보수·보강 방안 89
7.1.1 옹벽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과 요인 90
7.1.2 손상현황 및 원인 91
7.1.3 보강터 옹벽 보수·보강 방안 91
7.2 유지관리 방안 100
7.2.1 개요 100
7.2.2 계측관리 104

제8장 결언 및 추천사항 10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