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1년 미디어다양성 조사항목
1) 미디어다양성 조사개관
본 연구는 2015년 미디어다양성 측정 지표 시범 적용 이후 6년 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미디어다양성 조사 틀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미디어다양성의 복합적이고 중층적 성격을 감안하여 노출 다양성을 확대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2021년 미디어다양성 조사는 크게 구조적 측면, 내용적 측면, 이용 측면의 다양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구조적 측면의 다양성은 상품 및 티어, 소유주체를 현황을 파악하는 채널 다양성, 전체 방송채널의 주제 및 채널 배치의 현황을 파악하는 공급 다양성, 채널의 제작주체 및 장르의 현황을 파악하는 편성 다양성으로 구성된다. 둘째, 내용 다양성은 2021년 드라마, 뉴스에 등장하는 인물의 분포 현황의 다양성으로 구성된다. 셋째, 이용 다양성은 크게 노출 다양성과 시청자 인식조사로 구성된다. 노출 다양성은 주요 채널 프로그램 장르의 시청률 비율과 성, 연령대별 시청률 비율의 현황으로 구성된다. 이용 다양성은 드라마 및 뉴스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로 구성된다. |
<표 1> 2021년 미디어다양성 분석체계
구분 |
내용 |
비고 |
|||
해외 사례 검토 |
해외 주요 국가 미디어다양성 연구동향/정책 방향 |
|
|||
미디어 다양성 현황 진단 |
플랫폼 |
구조 |
상품(Tier) |
상품의 종류(개수) |
채널다양성 |
소유주체 |
독립 채널 개수 비율 |
채널다양성 |
|||
소유주체에 따른 채널 비율(개수) |
|||||
채널 |
구조 |